728x90 반응형 전체 글260 창원03-주남의 새들 주소 : 경남 창원시 동읍 대산면 일원 방문일시 : 2009년 3월 16일- 4월 13일 (두번 방문.양일을 조합해서 포스트 작성) 사용 카메라 : FUJIFILM FinePix S8000fd 걍~똑딱이 디카..약간 하이엔드급. 고로 화질구림(연장 탓하기~ㅋ) ▣ 주남저수지 서식하는 철새나 텃새에 관한건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필자가 새에 관해서 일자무식합니다.아는 새라고는 참새,비둘기(닭둘기),진짜 꼬꼬댁,양념치킨,후라이드치킨@@ --;; 모릅니다...새 모릅니다...죄송하지만 걍~넘어가주십시오. 아래 포스트에 나오는 새들도 정확하게 파악되는 새들도 없고요..카메라가 디카이다 보니 암만 줌땡겨봐도 거기서 거기라 정말 새 하나 찍기 힘들었습니다..이점 양해바랍니다. 크게 부연 설명없이 이미지 순서대로 올립.. 2009. 7. 16. 창원02-주남 저수지 탐방하기 주소 : 경남 창원시 동읍 대산면 일원 방문일시 : 2009년 3월 16일-4월 13일 (두번 방문.양일을 조합해서 포스트 작성) ▩ 새에 관해서 절대 문외한 필자가 주남저수지편을 작성할려고 하니 사실 어디서 어디부터 잡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늘 그랬듯이 방문 위주로 작성하겠습니다. --;; 그래도 주남저수지에 대한 기초 공부는 하고 가야겠죠... 주남 저수지는 세개의 저수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동판 72만 6천평,주남 85만 5천평,산남 22만 5천평 약 180만평. 3개의 호수를 그냥 주남저수지라고 부릅니다.오른쪽 이미지에서 보듯 중간에 주남저수지가 핵심이겠죠. ▶ 주남저수지 : 한가운데에 갈대섬이 있어..새들의 휴식처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재두루미,고니 등의 천연기념물과 가창오리,쇠기러.. 2009. 7. 16. 창원01-주남 저수지 가는 길 주소 : 경남 창원시 동읍 대산면 일원 방문일시 : 2009년 3월 16일- 4월 13일 (두번 방문.양일을 조합해서 포스트 작성) ▦ 창원 주남 저수지 방문기 입니다. 이 번편은 주남 가는 길 포스트입니다. 포스트를 작성하다 보니깐 너무 길어져서 할 수 없이 반으로 나눴습니다. 총 3편이 올라갑니다.주남 저수지 본편은 '창원02-주남 저수지 탐방하기' 입니다. 바로 가셔도 무방합니다. 아래 주행샷은 2009년 4월 13일입니다.♨ 주행중 찍은 사진은 폰카입니다. 화질상태가 고루지 못한점 양해바랍니다. ↑ 밀양시 하남읍입니다.간만에 보는 이용원.~ㅋ 이발소죠..그 옆 문화TV~ㅋ 정겹네요! ↑ 읍내를 통과 하고 있습니다. ↑ 수산교를 타야합니다. ↑ 수산교입니다. 수산대교는 옆에 따로 있습니다. 수산대교.. 2009. 7. 14. 불어난 물에 빠진 자동차-순간의 선택이@@ ↑ 송정해수욕장 도로를 가로질러 빠져 나갈려는데 엥~~~이건 뭥~시츄에이션 ↑ 불어난 폭우에 과감히 뛰어들었지만... ↑ 결국은 서 버린 자동차. 이런 경우는 처음 보네요.얼마나 비가 많이 왔어면 이 곳이 물바다로 변했을까요?? ↑ 암만 비가 와도 이렇게 물이 고인적이 없는뎅~. ↑ 운전자는 창문을 내리고 탈출!! 했을거라는 추측~~ ↑ 차를 뺄려면 구냥 물빠질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어보입니다. 안타까운 현장입니다. ↑ 그날 송정은 비바람이 엄청 불었넹~~~~ 구글어스에서 위치 보기 구글어스 다운로드 ▩ 2009년 7월7일 화요일 이날 부산은 360mm의 비 폭탄을 맞았습니다.구냥 들어 붓더군요..바지,구두 전부 비에 젖고 제대로 길을 걸을 수 없을 정도로 곳곳이 침수이고,,갑자기 비가 와서 그런가 .. 2009. 7. 8. 남해군04-미국,독일마을,상주해수욕장~무한질주뿐! 4탄 무한질주 방문일시 : 2008년 10월 20일 월요일 ▧ 이번 편은 사실 남해군을 빠져나가는겁니다.여행으로 온것이 아니라 업무차 방문했다가 정말 짧은 시간동안 여러군데 볼려고 하니 그야말로 수박겉핥기씩으로 스피드하게 움직였습니다. 다음 기회가 되면 제대로 보고 싶지만..사람 마음이란게 ....대충 봤어도 본거다 보니 다시오기가 쉽지 않더군요..ㅋ 여튼 미국마을-금산보리암(주차장에서 회차)-상주비치-송정해수욕장-독일마을(원예촌은제외) 순으로 진행되는데요.대부분 차에서 폰카로 촬영..상주,송정은 디카입니다. ■ 주행중 찍은건 폰카입니다.아무래도 화질도 구리고 구도도 엉망입니다.이점 양해주시기 바랍니다.d--b ▷ 가천다랭이마을을 뒤로 하고 미국마을로 향했습니다.. ↑ 미국 마을이 보이는군요.. ↑ 미국.. 2009. 7. 7. 남해군03-가천 다랭이 마을 3탄 가천 다랭이 마을 방문일시:2008년 10월 20일 월요일 주 소: 남해군 남면 홍현리 가천 다랭이마을 ▒ 45도 경사의 비탈진 곳에 석축을 쌓아 108층이 넘는 계단식 논.얼마나 억척스런 삶이었을까요.? 직접보면 경이로움마저듭니다. 마을 인구가 58가구 154명이라고 하는데..대부분 나이드신분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과거와 달리 지금은 많은 관광객들이 붐비는데 여기서 숙박 하실 분들은 좀 철저히 알아보시는게 좋을겁니다.아무래도~어르신들이다보니..글고 시설도 좀~~^^; 여튼 이곳 또한 아주 스피드하게 대충 둘러봤습니다.ㅋ~ ♨ 차량안에서 찍은건 전부 폰카입니다. ↑ 이충무공 건물 유적지입니다.월요일이라 문을 닫았는지,,공사중이었는지 ~~실은 기억이 안나요.ㅋ~ 뭐든간에 시간 관계상 들어 갈 시간도.. 2009. 7. 6. 남해군02-남해충렬사~이순신 장군의 가묘가 있는 곳 남해 충렬사 [南海忠烈祠] :장군의 가묘가 있는 곳 방문일시 : 2008년 10월 20일 월요일 주소 :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1973년 사적 제233호로 지정(필자도 이해에 태어남,^^;;소띠) 구조:사당,재실,비각 각 1동, 내삼문,외삼문, 비(碑) 4기(基), 가분묘 1598년(선조 31)11월 19일 노량 해전에서 순국하자, 이 곳에 유해를 안치하였다가 완도 고금도로 옮겼다가 충남 아산으로 이장. ▒ 아래 동영상을 보시고 찬찬히 충렬사를 보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다시 편집해서 올리겠습니다. ↑ 노량바다에 떠 있는 거북선,유료입니다.1,000원인가 2,000원인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거북선은 통영에서 본적 있어 바로 충렬사로 갔습니다. ↑ 약간 언덕에 위치해 있습니다..그런데 약간 길이.. 2009. 7. 6. 남해군01-남해대교~남해로 고고싱!! 경상남도 남해군 시리즈 1탄 남해로 고고싱~ 방문일시 : 2008년 10월 20일 월요일 ▩ 늘 그렇지만 여행이 아니라 일 때문에 갔습니다. 그래서 내용이 많이 부실합니다.--;; 남해군청이 목적지인데 그 부분은 제외, 밑에 글에 어스용 파일에는 남해군청쪽 궤적은 삭제...약간 편집을 했습니다.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주) 웹사이트와 다음 블로그에서 티스토리 이적으로 예전 내용임 출발:부산 목적지:경상남도 남해군 ≫ 부산에서 남해로 갈려면 네~~그렇습니다. 남해고속도로 타면 됩니다.~ㅋ 그럼 출발할까요!! ↑ 뻥 뚫린 고속도로 기분좋죠~ㅋ ↑ 창원1터널입니다. ↑ 칠원분기점입니다.제법 왔네요~ ↑ 함안 1터널입니다. ↑ 멀리 산인 톨게이트가 보입니다.여기서 조금 더 가면 함안입니다. ↑ 남해 갈려면 당.. 2009. 7. 5. 밀양01-토마스 김범우의 묘 (조선 최초의 천주교 희생자) ♨ 저는 종교가 없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왜 이 글을 작성하는가 물어신다면 '구~냥 존경해서요'라고 답하겠습니다.블로그 포스트 하나에 뭐~거창한 뜻이 있겠습니까??^^;; 다문 정의자로서 그 믿음과 그 용기에 감동해서입니다. 김범우[金範禹 1751년4월27일(음)-1787년 7월16일(음) 37세] ▒ 천주교 신자라면 토마스님을 잘 알겠지만 저와 같이 기독교와 무관한 사람이라면 당연시 누군지 모르겠죠.간략히 설명드리자면 '조선 최초의 천주교 희생자' 입니다.순교자는 맞는데 최초의 순교자가 아니고 희생자라는 겁니다.물론 고문을 받기는 했지만 정부에 의한 교수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참고로 조선 최초의 순교자는 바오로 윤지충(尹持忠, 1759~1791) 입니다.학교 다닐때 천주교 박해사건 외우고 시험도 쳤던걸.. 2009. 6. 22. HP 무선 키보드 마우스 세트 [1차 수정본] 1차 수정본 사용기간:2009년 4월 28일-2009년 8월~ (석달 사용기) ◑ 마우스 : 배터리 사용기간이 3개월이 되니 소진 되더군요 (2009년 4월 28일- 2009년 7월 31일) 배터리도 충전 건전지는 사용불가입니다. 일반 알카라인 건전지만 사용 가능합니다. 한가지 더 안 사실은 마우스패드도 검은색 계열 사용시 배터리 소모가 높습니다. 이유인즉 마우스를 사용 안할시 절전모드를 가는데 패드가 검은색이면 계속 사용하는걸로 인식한다고 하더군요.@@ P.S: 사용시간이 평일에는 밤 4시간정도 주말에는 계속 켜두고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필자는 게임을 전혀 안합니다. 필자 혼자서만 사용했고요 마우스를 과도하게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 사용안할 때에는 필히 OFF해 뒀습니다. ▣ 키보드 : 최근에 타이핑을.. 2009. 6. 16. 돌해변(가족끼리 놀기 좋은곳) ★ 돌해변은 제가 임의로 붙인 것입니다. 도저히 지명을 모르겠습니다.구냥 국도변의 바다이다 보니 따로 공식명칭은 없습니다. 다가오는 여름 여러분들은 어디로 가실건가요? 휴가철은 어디를 가던 사람들이 많죠..물론 제가 소개하는 이곳도 아는 사람은 오는 곳이라 휴가철에는 제법 복잡합니다...일단 밑에 동영상 부터 보고 나서 얘기를 시작할까요.. 기장 대변항 길따라 가다 보면 영화'친구' 촬영장소 안내판이 보이고 좀 더 가다보면 나옵니다. 위치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거북바위 가기전 벌너리 바위가 유일한 명칭이 될듯 합니다.) 경위도 : 35 13'36'11"N 129 14'24.41" ↑돌해변.kmz을 다운받아서 클릭하면 바로 구글어스에서 위치를 가르쳐줍니다.(자기 컴에 구글어스가 깔려있어야겠죠).. 2009. 6. 10. 김해-01 연지공원 연지공원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528-8 경위도 : 35 14'46.37"N 128 52'07.65"E 원앙새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 기러기목 오리과로 분류 삭막한 도심에 공원 하나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보여주는 케이스다...연지공원이 김해에 있지만 인근 부산 시민들도 가끔 놀러가기 좋을 정도로 지리적으로도 가깝다.. ▨ 2009년 기준 부산에서 시내버스로 갈 경우 좌석 1004번 부산역에서 출발 요금은 부산 시내(교통카드 사용시) 1,700원 김해 진입이후 200원 플러스 도합 1,900원 입석 버스로는 서구청에서 출발하는 123번 시내 1080원 김해 100원 도합 1,180원 그외 128번 등 있습니다. 중요한건 요금이 좌석 1,900원 입석 1,180원 부산 .. 2009. 6. 9. 김해-02 왕따 원앙 ☞ 유독 한마리만 왕따 당하길래 유심히 관찰을 해보니~~~ ♨ 동영상 제목을 '미운오리'라고 한건 원앙도 오리과에 속합니다.'미운 원앙'은 좀 이상한 것 같아서요.--;; ☞ 아마도 새끼를 보호 할려고 그런것 같기도 하고~~~글타면 다른 원앙은 뭐징????⊙⊙ ↑ 호수 한쪽에 있는 원앙 집입니다. ↑ 언뜻 보기에는 평온해 보이지만 나름 서열도 있습니다.각자 자기 자리가 있고..우리의 왕따 원앙은 맘 놓고 바위에서 털도 못 만지고 늘상 호수로 쫒아버리더군요. ↑ 새끼를 보호하는 어미,,가끔 날개 짓으로 새끼를 훈련도 시키더군요. ▷ 통상 원앙은 금슬 좋은 새로 알고 있는데..어케 연지공원에서는 전혀 그런걸 못봤습니다.. 새끼 키울때는 숫컷을 멀리 하는건가요?ㅋ 김해-01 연지공원 2009/06/09 김해-.. 2009. 6. 9. 흰둥이 2마리 지나가다 우연히 만난 개 2마리~ㅋ 삼랑진 범우로 쪽 입니다.~오후에 하도 잠이 쏟아져서 걍~올립니다.--;; 2009. 6. 5. 부산 남항대교 방문일시:2008년 10월 25일 토요일 좌표값 35 01'30.75"E 129 01'30.75"E 총 길이 1,925m·폭 25.6m이며, 왕복 6차로이다.부산 서구 암남동과 영도구 영선동을 연결. 이번에 새로 완공된 남항대교입니다.송도에서 영도로 연결된거죠..통행료는 공짜..송도쪽으로 가시면 다리위로 올라 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있습니다.주차할 곳은 많더군요..그것도 공짜인듯... ↑송도에서 대교 올라가는 모습니다. ↑ 다리위에서 본 바다입니다.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는데...음..괜찮어시면 바탕화면으로 사용해보세요..나름 괜찮더군요.~ㅋ ↑ 송도로 들어가는 방향입니다. ↑ 영도입니다.안개가 많이 껴서 시야가 별로입니다. ↑ 송도에서 영도로 내려가는 중입니다. ↑ 구글어스에서 보면 아직 공사.. 2009. 6. 2.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 728x90 반응형